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7

큐 Queue(kotlin Implementation ),코틀린 구현 FIFO First in first out 놀이 공원 매표소와 같이 큐에 저장되는 순서대로 제거되는 자료구조 AddItem - Add item을 리스트 끝부분에 추가 Remove - 리스트의 첫번째 항목 제거 Peek - 가장 위에 항목 반환 Isempty - 큐 비어있을대 true 반환 활용도 bfs 사용 LinkedList를 이용하는 Queue예 val names: Queue = LinkedList() names.add("Jack") names.add("Adam") names.add("Katherin") names.add("Helen") names.add("Watson") println(names) 2021. 11. 1.
코틀린, Kotlin 콜렉션,Collection 1. From Java collection Pair - 값이 2개인 튜플 Triple - 값이 3개인 튜플 Array - 객체나 프리미티브 타입으로 구성되어 순번이 있고, 크기가 고정된 콜렉션 List - 객체들이 정렬된 콜렉션 Set - 객체들이 정렬되지 않은 콜렉션 Map - 연관 사전 혹은 키와 값의 맵 2. withIndex() - forin 문에서 Index 또한 사용 가능 3.Set 콜렉션은 중복 허용 X 2021. 11. 1.
Kotlin 코틀린 가변인자, vararg , 스프레드 연산자 vararg 가변 인자는 개수가 정해지지 않은 인자를 말합니다 스프레드연산자 통해 * vararg에 값을 한번에 전달 가능하다 fun printString(vararg strings : String): Unit { for (string in strings) { println(string) } } fun main() { printString("derrick") printString("derrick", "summer") printString("derrick", "summer", "toghter") } fun excelTest() { val family = arrayOf("derrick", "summer", "toghter") printData(*family) } fun printData(vararg sent.. 2021. 10. 31.
스택 Stack (kotlin Implementation ),코틀린 구현 스택(stack)은 제한적으로 접근할 수 있는 나열 구조이다. 그 접근 방법은 언제나 목록의 끝에서만 일어난다. 끝먼저내기 목록(Pushdown list)이라고도 한다. 스택은 한 쪽 끝에서만 자료를 넣거나 뺄 수 있는 선형 구조(LIFO - Last In First Out)으로 되어 있다. 자료를 넣는 것을 '밀어넣는다' 하여 푸쉬(push)라고 하고 반대로 넣어둔 자료를 꺼내는 것을 팝(pop)이라고 하는데, 이때 꺼내지는 자료는 가장 최근에 푸쉬한 자료부터 나오게 된다. 이처럼 나중에 넣은 값이 먼저 나오는 것을 LIFO 구조라고 한다 Kotlin Implmentaion class MutableStack(vararg items: E) { // 1 private val elements = items... 2021. 10. 31.
반응형